용서받지 못한자
The unforgiven. 용서받지 못한 자.
한국의 독립영화이다. 감독 윤종빈씨의 졸업작품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한다.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되어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넷팩상 등을 수상하며 유명세를 타기도 했지만, 군(軍)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이유로 국방부로부터 고소를 당하기도 했던 명암이 분명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의 제작진이 국방부에 촬영 협조를 구할 당시에 이 영화의 줄거리는 씩씩하고 명랑한 …
닥터 지바고
닥터 지바고.
꾀나 유명한 영화지.
포스터 보면 알겠지만, 벌거벗은 사내 몇마리가 빙글빙글 돌고 있는것이
‘예술영화 따위는 지겨워’ 라는 고정관념이 박혀 있는 나에게
이 영화또한 지겨움을 한껏 선사해주는 그런 영화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앞섰었지.
거기다 원체 여러가지 상받은 영화나 문학이라는것 자체가 사람을 심오하게 만들어서
골똘히 생각하고 생각하다가 취침을 …
친절한 금자씨
(스포일러가 있으니 영화를 보지 않으신 분은 읽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올드보이로 그 명성이 높은 박찬욱감독이 내놓은 복수시리즈 3편 ‘친절한 금자씨’
이 영화의 설정은 아시다시피 유괴살인죄로 기소되어 13년간 복역한 금자씨가
출옥하면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그리고 금자씨가 회상하는 형식으로 그녀가 어떻게 감옥에 가게 되었는지
그리고 왜 백선생 이라는 사람에게 복수를 …
청연(靑燕)
청연(靑燕)
영화 ‘청연’ 은 조선 최초의 여류비행사 ‘박경원’ 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픽션입니다.
영화의 드라마적인 요소를 위해서 어느정도의 픽션은 가미되었겠지만
영화는 일제치하시절을 살던 조선인들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게
만들어주는 좋은 영화입니다.
조선인 최초로 일본 비행학교에 들어가 스스로의 힘으로 …
불안 – 알랭 드 보통
불편하고 거북한 감정.
불안.
불안이란 무엇일까. 왜 우리는 불안한 감정을 느끼고 그 감정에 따라 우리의 마음과 생각이 기복을 일으키는 것일까.
그리고 불안하지 않게 살려면 우리는 어떤 삶의 자세를 지향해야 할까.
물론 이 책은 에세이류의 서적으로써 불안의 감정에 대해서 절대적인 혹은 과학적인 해석을 제공해주지는 …
농담 – 밀란 쿤데라
농담 – 실없이 하는 우스갯소리. 장난으로 하는 말.
이 소설은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라는 소설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체코의 유명한 작가 ‘밀란 쿤데라’ 의 처녀작이다.
이 소설 또한 그의 소설의 특성인 독특한 철학적 시선과 해석을 엿볼 수 있는 매우 재미있는 작품이다.
소설에서 그가 말하고자 하는 농담.…
매스미디어 심리학 – Richard J.Harris
” 텔레비젼은 바보상자다. ”
한 때 텔레비젼 유해론이 뜨거운 감자로 회자되고 있을때 텔레비젼을 위와 같은 표현으로 부르곤 했었다.
왜 고밀도직접회로의 집합이자 20세기 인류가 만들어낸 위대한 전파수신기인 텔레비젼을 어이없이 바보상자라고 이야기하는가.
리차드 해리스의 매스미디어 심리학은 이러한 질문에 어느정도 해명을 해줄 수 있는 책이다.
그는 매스미디어의 …
죄와 벌 – 도스토예프스키
사회는 우리가 죄를 지으면 그에 응당한 벌을 받는것을 합리적인 것 이라고 이야기 한다.
죄는 사회질서에 반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벌은 그에 합당한 패널티를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들의 사회는 죄와 벌이라는 연역적 관계를 얼마나 합리적으로 풀어나가고 있는가.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은 이러한 사회정의의 불합리성에 대해서
소설의 형식을 빌어 …